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갑자기 녹음이 안 되는 맥북? '맥북 녹음 해결 방법' 완벽 가이드로 막힌 목소리를 되찾
으세요!
목차
-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기본 사항: 마이크 물리적 연결 및 음량
- 외장 마이크 사용 시 연결 상태 확인
- 내장 마이크 및 시스템 입력 음량 점검
- 맥 OS의 핵심 설정 점검: 사운드 설정 및 입력 장치 선택
- 시스템 설정 내 사운드 입력 탭 확인
- 올바른 마이크 입력 장치 선택
-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앱 별 마이크 접근 권한 확인
- 녹음 앱의 마이크 접근 허용 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또는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메뉴 활용
- 전문적인 해결책: Core Audio 재시동 및 오디오 MIDI 설정 확인
- Core Audio 프로세스 강제 종료 및 재시작
- 오디오 MIDI 설정 초기화 및 포맷 변경
- 소프트웨어적 문제 해결: 녹음 앱 및 macOS의 상태 점검
- 녹음 프로그램 자체 설정 및 업데이트
- macOS 업데이트 및 시스템 재시동
- 특정 상황별 문제 해결: 화면 녹화 시 시스템 소리 녹음
- BlackHole과 같은 가상 오디오 장치 활용
- 다중 출력 장치 설정 방법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기본 사항: 마이크 물리적 연결 및 음량
맥북에서 녹음 문제가 발생했을 때, 대부분의 경우 복잡한 설정보다는 가장 기본적인 부분에서 오류가 시작됩니다. 따라서 시스템 깊숙한 곳을 건드리기 전에 반드시 이 기본 단계를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외장 마이크 사용 시 연결 상태 확인
USB 타입의 외장 마이크, 오디오 인터페이스 또는 3.5mm 잭을 사용하는 헤드셋 마이크를 사용하고 있다면, 해당 장치가 맥북에 완전히 그리고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포트 확인: USB 케이블이 헐겁게 연결되어 있지는 않은지, USB 허브를 사용한다면 허브 자체가 전력 공급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3.5mm 잭의 경우, 맥북의 오디오 포트가 마이크 입력을 지원하는지 (대부분의 최신 맥북은 4극 통합 포트를 사용하지만, 구형 모델은 별도의 라인 입력 포트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확인하고, 완전히 꽂혀 있는지 점검합니다.
- 마이크/인터페이스 자체 상태: 외장 마이크나 인터페이스에 전원 버튼이나 음소거 버튼($\text{Mute}$)이 있다면, 해당 버튼이 켜짐($\text{ON}$) 상태인지 또는 음소거 해제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내장 마이크 및 시스템 입력 음량 점검
외장 마이크가 아닌 맥북 내장 마이크를 사용하거나, 연결 상태가 양호함에도 녹음 레벨이 매우 낮게 표시된다면 시스템의 입력 음량 설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 시스템 설정 접근: Apple 메뉴() $\rightarrow$ '시스템 설정' (또는 '시스템 환경설정')으로 이동합니다.
- 사운드 설정: 사이드바에서 '사운드'를 클릭한 후, 상단의 '입력' 탭을 선택합니다.
- 입력 장치 확인: 목록에서 현재 사용하려는 마이크 (예: 'MacBook Pro 마이크' 또는 연결된 외장 마이크 이름)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입력 음량 조절: '입력 음량' 슬라이더가 너무 왼쪽(낮은 음량)으로 설정되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고, 슬라이더를 오른쪽으로 충분히 이동시켜줍니다. 이 때 마이크에 대고 말을 해보면 하단의 '입력 레벨' 게이지가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이지가 움직이지 않거나 입력 장치가 목록에 아예 없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맥 OS의 핵심 설정 점검: 사운드 설정 및 입력 장치 선택
기본적인 물리적 연결 및 음량 설정에 문제가 없다면, 맥 OS 내부에서 입력 장치가 제대로 인식되고 선택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시스템 설정 내 사운드 입력 탭 확인
앞서 언급했듯이 '시스템 설정' $\rightarrow$ '사운드' $\rightarrow$ '입력' 탭은 맥북에서 녹음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확인해야 할 곳입니다.
- 선택된 장치: 녹음을 하려는 시점에 목록에 표시된 장치들 중 현재 사용하고자 하는 마이크가 확실히 선택($\checkmark$ 표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외장 마이크를 연결했는데 'MacBook Pro 마이크'가 여전히 선택되어 있다면 외장 마이크로 녹음되지 않습니다.
- 장치 재선택: 때로는 연결된 장치를 다시 한번 클릭하여 확실하게 선택을 활성화 해주는 것만으로 문제가 해결되기도 합니다.
올바른 마이크 입력 장치 선택
일부 녹음 프로그램(예: Logic Pro, GarageBand, QuickTime Player 등)은 시스템 설정과는 별개로 프로그램 자체 내에서 오디오 입력 장치를 선택하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 앱 환경설정: 사용하고 있는 녹음 앱을 열고, 해당 앱의 '환경설정($\text{Preferences}$)' 또는 '설정($\text{Settings}$)' 메뉴에서 '오디오'나 '사운드' 관련 섹션을 찾습니다.
- 입력 장치 지정: 해당 섹션 내에서 '입력 장치($\text{Input Device}$)' 또는 '마이크($\text{Microphone}$)' 옵션이 시스템 설정에서 선택한 것과 동일한 장치로 지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재지정합니다.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앱 별 마이크 접근 권한 확인
최신 macOS 버전에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앱이 마이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명시적인 권한 허용이 필요합니다. 녹음 앱이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했는지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녹음 앱의 마이크 접근 허용 설정
만약 특정 앱에서만 녹음이 안 된다면 이 권한 문제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시스템 설정 접근: Apple 메뉴() $\rightarrow$ '시스템 설정' (또는 '시스템 환경설정')으로 이동합니다.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사이드바에서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또는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를 클릭합니다.
- 마이크 섹션: 오른쪽에 나타나는 메뉴 중에서 '마이크'를 선택합니다.
- 권한 확인: 마이크를 사용하려는 앱들의 목록이 나타납니다. 녹음을 시도했지만 실패한 앱 옆의 토글 버튼($\text{Toggle}$ $\text{Switch}$)이 켜짐($\text{ON}$) 상태($\checkmark$ 표시)인지 확인합니다. 만약 꺼져 있다면 클릭하여 활성화해줍니다. 앱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앱은 마이크 입력을 받을 수 없습니다. 주의사항: 권한을 변경한 후에는 해당 앱을 완전히 종료($\text{Quit}$)했다가 다시 실행해야 변경 사항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적인 해결책: Core Audio 재시동 및 오디오 MIDI 설정 확인
앞선 기본적인 설정 점검만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맥 OS의 오디오 시스템 핵심 구성 요소에 일시적인 오류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Core Audio 프로세스 강제 종료 및 재시작
Core Audio는 맥 OS의 모든 오디오 기능을 처리하는 핵심 프로세스($\text{coreaudiod}$)입니다. 이 프로세스에 문제가 생기면 마이크를 포함한 모든 오디오 입출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활동 상태 보기 실행: '응용 프로그램' $\rightarrow$ '유틸리티' 폴더에서 '활동 상태 보기($\text{Activity Monitor}$)' 앱을 실행합니다.
- 프로세스 찾기: 상단의 검색창에 'coreaudiod'를 입력하여 해당 프로세스를 찾습니다.
- 프로세스 종료: 'coreaudiod'를 선택한 후, 창 상단의 'X' 아이콘(강제 종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 강제 종료 확인: 경고창이 나타나면 '강제 종료($\text{Force Quit}$)'를 선택합니다. Core Audio는 시스템 핵심 프로세스이므로, 종료 후 맥 OS가 자동으로 이 프로세스를 다시 시작($\text{Restart}$)하여 오디오 시스템을 리프레시합니다. 이 때 잠시 오디오 관련 기능이 끊길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통해 일시적인 오류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MIDI 설정 초기화 및 포맷 변경
'오디오 MIDI 설정' 앱은 맥북에 연결된 모든 오디오 장치($\text{Input/Output}$ $\text{Device}$)의 샘플률($\text{Sample}$ $\text{Rate}$)이나 비트 심도($\text{Bit}$ $\text{Depth}$) 등의 상세 설정을 관리하는 곳입니다. 장치 간의 설정 충돌이 발생하면 녹음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오디오 MIDI 설정 실행: '응용 프로그램' $\rightarrow$ '유틸리티' 폴더에서 '오디오 MIDI 설정($\text{Audio MIDI Setup}$)' 앱을 실행합니다.
- 입력 장치 확인: 왼쪽 목록에서 문제가 있는 마이크 입력 장치를 선택합니다.
- 포맷 변경: 오른쪽에 나타나는 '포맷' 섹션에서 샘플률($\text{Sample}$ $\text{Rate}$)과 비트 심도($\text{Bit}$ $\text{Depth}$) 설정을 표준 설정(예: $44.1 \text{kHz}$ 또는 $48 \text{kHz}$, $16$비트 또는 $24$비트)으로 변경해봅니다. 외장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면, 인터페이스 자체의 설정과 오디오 MIDI 설정의 포맷이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일치하지 않으면 오디오 오류가 발생합니다.
소프트웨어적 문제 해결: 녹음 앱 및 macOS의 상태 점검
하드웨어와 시스템 설정에 모두 문제가 없다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점검하거나 시스템 전반의 업데이트/재시동을 통해 근본적인 오류를 해결해야 합니다.
녹음 프로그램 자체 설정 및 업데이트
특정 녹음 앱에서만 문제가 발생한다면, 해당 앱의 설정이나 버전 문제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앱 환경설정 리셋: 앱 내의 오디오 관련 설정을 기본값으로 재설정($\text{Reset}$ $\text{to}$ $\text{Default}$)하거나, 환경설정($\text{Preferences}$) 파일을 삭제($\text{Delete}$)하여 초기화합니다 (이 과정은 앱마다 다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앱 업데이트: 앱 스토어($\text{App}$ $\text{Store}$)나 개발사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 중인 녹음 앱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고, 가능하다면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구형 버전의 앱이 최신 macOS 버전과 호환성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macOS 업데이트 및 시스템 재시동
때로는 macOS 자체의 버그나 일시적인 메모리 충돌로 인해 녹음 기능에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 macOS 업데이트: Apple 메뉴() $\rightarrow$ '시스템 설정' $\rightarrow$ '일반' $\rightarrow$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서 현재 사용 중인 macOS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합니다. 구 버전이라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알려진 버그를 해결합니다.
- 시스템 재시동: 모든 설정 변경을 마친 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맥북을 완전히 시스템 종료($\text{Shut}$ $\text{Down}$)했다가 다시 시동($\text{Restart}$)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입니다. 재시동은 일시적인 시스템 캐시($\text{Cache}$)나 메모리($\text{Memory}$)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방법입니다.
특정 상황별 문제 해결: 화면 녹화 시 시스템 소리 녹음
퀵타임 플레이어($\text{QuickTime}$ $\text{Player}$) 등의 기본 앱을 이용해 화면 녹화를 할 때, 화면에 재생되는 시스템 소리(예: 유튜브 영상 소리)는 녹음되지 않고 마이크 소리만 녹음되거나 아예 소리 녹음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맥 OS가 기본적으로 시스템 내부 소리($\text{System}$ $\text{Sound}$)의 라우팅($\text{Routing}$)을 막아 놓았기 때문입니다.
BlackHole과 같은 가상 오디오 장치 활용
시스템 소리를 녹음하려면 시스템 소리를 마이크 입력으로 '우회($\text{Reroute}$)'시켜주는 가상 오디오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BlackHole' 또는 'Soundflower' 같은 무료 가상 오디오 장치가 널리 사용됩니다.
- 가상 드라이버 설치: 'BlackHole'과 같은 가상 오디오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맥북에 설치합니다.
- 오디오 MIDI 설정 진입: '응용 프로그램' $\rightarrow$ '유틸리티' $\rightarrow$ '오디오 MIDI 설정'을 실행합니다.
- 다중 출력 기기 생성: 왼쪽 하단의 '$\text{+}$' 버튼을 클릭하고 '다중 출력 기기 생성($\text{Create Multi-Output Device}$)'을 선택합니다.
- 장치 선택: 새로 생성된 다중 출력 기기($\text{Multi-Output Device}$)에서 '내장 출력($\text{Built-in Output}$)'과 함께 방금 설치한 'BlackHole'을 모두 선택($\checkmark$)합니다. (순서: 내장 출력을 마스터($\text{Master}$ $\text{Device}$)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중 출력 장치 설정 방법
위에서 생성한 다중 출력 기기를 시스템 전체의 출력으로 설정합니다.
- 시스템 출력 설정: Apple 메뉴() $\rightarrow$ '시스템 설정' $\rightarrow$ '사운드' $\rightarrow$ '출력' 탭으로 이동합니다.
- 다중 출력 선택: 출력 장치 목록에서 방금 생성한 '다중 출력 기기($\text{Multi-Output Device}$)'를 선택합니다. 이제 시스템의 모든 소리가 '내장 출력' 스피커와 'BlackHole' 가상 드라이버로 동시에 출력됩니다.
- 녹음 앱 입력 설정: 퀵타임 플레이어 등 녹음 앱을 실행하고, 마이크 입력($\text{Input}$ $\text{Source}$) 장치를 'BlackHole'로 선택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맥북의 시스템 소리가 BlackHole로 들어가 녹음 앱에서 마이크처럼 인식되어 녹음됩니다. (이때 사용자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다중 출력 기기에 함께 연결해야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계들을 순서대로 확인하고 적용한다면, 대부분의 맥북 녹음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 진단과 단계별 접근이 문제 해결의 핵심입니다.
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헌신짝 취급 받던 맥북 프로 중고, 완벽하게 되살리는 해결 가이드 (0) | 2025.10.26 |
|---|---|
| 맥북에서 윈도우를 완벽하게 사용하는 방법: 당신의 생산성을 2배로! (1) | 2025.10.26 |
| 대화면의 적! 갤럭시 탭 S8 울트라 보호필름 부착 완벽 해법 총정리 (0) | 2025.10.25 |
| 🔥고민 끝! 갤럭시 탭 S8 vs S9, 당신의 선택을 완벽하게 해결해 드립니다! (0) | 2025.10.24 |
| 🔥 갤럭시 탭으로 엑셀 작업, 이제 답답함 없이 노트북처럼 해결하는 완벽 가이드! (0) | 2025.10.23 |